국내 맞춤정장의 시작부터 지금까지도 역사를 계속 이어나가고 있는 국내 맞춤정장의 주역 삼성 제일모직. 아마 맞춤정장을 좋아하시는 분들이나 예복을 준비하시는 신랑, 신부님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국내 원단인데요. 최근에는 국내에도 원단 에이전시나 다양한 루트를 통해 다양하고 품질 좋은 수입 원단들을 만나볼 수 있지만 과거에는 제일모직이 주를 이루었기에 연세가 있으신 분들은 아직까지도 제일모직이 최고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을 종종 볼 수 있는 아이러니한 상황도 있습니다. 오늘은 국내 맞춤정장의 역사를 함께한 제일모직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제일모직의 역사'
창립 전 한국인들은 마카오에서 양복지를 사들여 양복을 해 입었는데, 문제는 수입 양복 값이 비쌌습니다. 이에 착안한 이병철 삼성물산 사장은 중역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1954년 9월 15일 제일모직공업을 세웠으며 1955년 소모방 공장 준공 후 1956년 국산 양복지 '골덴텍스'를 만들었고, 이후 방적/직포/방모 공장 등을 잇따라 세워 기틀을 다진 뒤, 1961년 창사 최초로 복지를 수출한 후 1968년 경북 경산공장을 세워 이듬해 학생 복지 '에리트' 생산도 개시했으나, 1972년 7월 경산공장을 분리해 제일합섬(주)를 설립했습니다. 한때 제일제당, 제일합성과 더불어 '제일' 삼총사 중 하나였습니다.
1975년 기업공개 후 제일복장으로부터 '장미라사' 사업권을 이어받았고, 1976년 제일모직으로 상호를 변경했습니다. 같은 해 칠곡 새마을 공장을 필두로 1977년 안양 디자인센터를 세우고 여성 기성복 '라보떼'를 출시했으며, 1979년 기술연구소, 1981년 오스트레일리아 합작법인을 각각 냈고, 1982년 현지 합작 양모 공장을 세웠습니다. 1983년 안양 남성복 생산공장 준공 후 1985년 신사복을 영국에 수출하며 1986년 카펫 생산을 개시했다. 1988년 의류사업본부(하티스트) 및 인테리어 사업부를 신설하고 화성연구소를 열었습니다.
1991년 여천 C-SAN 공장을 세운 후 세계에서 3번째로 순모 120수 복지를 개발했고, 1992년 미국 현지법인 및 여천 EPS 공장을 세우는 한편, 세계 최초로 초고밀도 113만 본 순모 카펫을 개발했고, 1993년 삼성물산과 공동으로 삼성패션연구소를 세운 후 1995년 '아이비클럽' 브랜드로 학생복 사업에 재진출 했고, 1997년 충남 예산공장을 세우고 미국 의류업체 '파멜라데니스'를 인수했고, 1999년 삼성물산으로부터 '에스에스패션' 브랜드를 넘겨받고 하이 크리에이션을 합병했습니다.
2000년에 삼성물산으로부터 해외 의류사업을 넘겨받고 2001년 학생복 사업부를 아이비클럽으로 분사시켜 (주)대원에 넘겼으며, 2002년 구미 IT 단지에 전자재료 공장을 세우고 2003년 F&F로부터 'KUHO' 브랜드를 인수한 뒤 2004년 OPC사업을 삼성전자에 넘겼으며 2007년 개미플러스유통을 인수하고 2011년 에이스디지텍을 합병했습니다. 2012년 YG엔터테인먼트와 합작해 '네추럴나인'을 세웠다. 2013년에는 패션부문을 삼성에버랜드에 넘겼고, 이듬해에는 삼성 SDI로 합병됐습니다.
제일모직은 그 안에서도 혼방률에 따라 다양하게 나뉘게 되는데 각자의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에 어떤 것이 좋고 어떤 것이 나쁘다 기준을 정하기 애매하지만 그래도 일반적으로 테일러샵이나 일반인들이 나눈 등급을 대표적으로 살펴보자면, '제니스(ZENITH) < 템테이션(TEMPTATION), 프레스티지(PRESTEGE) < VIP < 슐레인(CHEILAIN) < 1PP'로 꼽을 수 있습니다.
1) 제니스(ZENITH)
제일모직 원단 중 맞춤정장에 입문 단계에서 가장 많이 맞추시는 대표적인 원단입니다. 대중성과 완성도를 모두 갖춘 원당으로, 슈퍼파인 오스트레일리안 울 80%, 특수 방적 폴리사 20%를 혼용하여 구김이 적고, 가격대가 저렴하기에 흔히 전투용으로 입기 좋은 원단이며 그렇기에 정장을 데일리로 입으시는 분들이나 사회 초년생분들에게 추천드리는 원단입니다.
2) 템테이션(TEMPTATION)
템테이션은 고급스러움과 실용성이 조화를 이루는 컬렉션으로 제일모직이 국내 최초로 개발한 슈퍼파인 필 원단으로 호주산 슈퍼파인 메리노 울과 필라멘트사를 혼용하여 만들어진 원단입니다. 울 95%, 폴리 5%의 조합으로 울 원단 특유의 부드러운 감촉과 광택, 그리고 우수한 탄력을 가지고 있고 폴리가 혼방되어 있다 보니 그래도 비교적 구김이 덜 가는 것이 특징입니다. 템테이션 안에서도 스트레치 원단, 색소니 원단, 턱시도 원단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고 가격도 합리적이기 때문에 비즈니스 정장이나 합리적인 예복으로도 많은 사랑을 받는 원단 중 하나입니다.
3) 프레스티지(PRESTIGE)
프레스티지는 템테이션과 같은 혼용률을 가지고 있으나 원단의 탄력과 매끄러움을 높이기 위해 가공 처리를 한 번 더 거친 원단입니다.
4) VIP
VIP는 제일모직 원단 중에서도 순모 100%의 시작을 알리는 원단으로 '트라마니아 울(TRAMANIA WOOL), 캐시미어(CASHMERE), 알파카(ALPACA), 실크(SILK) 등 다양한 소재의 혼용 제품으로 출시되며 고전적인 우아함, 화려함이 잘 조화된 스타일과 색상으로 멋을 표현하는 원단입니다. 순모의 부드러운 터치감과 자연스럽게 몸을 감싸는 드레이프성이 뛰어나 고급 비즈니스 수트나 혹은 예복으로 가장 많은 분들이 선호하시는 원단 중 하나입니다.
5) 슐레인(CHEILAIN)
슐레인은 제일이라는 뜻의 'CHEIL'과 울을 의미하는 'LAIN'의 합성어입니다. 슐레인을 만들어 낸 제일모직은 최고의 원단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름을 붙였으며, 그 자부심을 함께 담아내고 있습니다.
수입 원단에도 뒤지지 않는 퀄리티를 자랑하고 있으며, 우수한 품종의 슈퍼 메리노 울을 실내 사육이라는 획기적인 방법을 통하여 양모를 얻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실내 사육의 장점은 날씨의 악영향을 전혀 받지 않으며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청결한 실내에서 키워내는데 이런 양모를 '샤리울(Sharlea Wool)'이라고 하는데 양모의 털이 야외에서 자라온 양모와 달리 불순물이 섞이지 않으며 섬유 길이 강도의 균일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또 16마이크론대의 매우 가느다란 실로 원단을 만들어내기에 실크처럼 매끄럽고 부드러운 터치감을 자랑하며 탄력이 매우 뛰어나 우수한 복원력을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6) 1PP
골든 플리스 1PP의 'PP'는 UP AND UP이라는 의미로 최고 중의 최고, 즉 1등급 호주의 975등급의 양모 중에서도 좋은 양모만을 사용해서 만들었다는 표식입니다. 연간 전 세계를 통틀어 200KG에 불과할 정도로 희소성이 높은 원단으로 양모의 굵기가 슐레인보다 1마이크론이 더 낮은 15마이크론 정도밖에 되지 않는 아주 가늘고 섬세한 실을 사용하여 원단을 만들어냅니다.
15마이크론이라 하면 사람 머리카락의 1/4 정도의 굵기인데요. 그만큼 섬세하고 부드러운 순색의 양모를 사용하여 옷으로 만들게 되면 부드러움과 탄력을 가히 따라잡을 원단이 없을 정도죠.
호주 전체 7만여 개의 목장들 중에서도 1PP급 양모를 생산할 수 있는 목장은 10여 곳 정도밖에 되지 않으며 그만큼 희소성이 매우 높고, 생산 조건도 까다롭습니다. 때문에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없는 원단이며 제일모직의 기술력과 우수성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죠.
MENS BOUT
Men's fashion, Shopping guide, Life style, Space, etc.
pf.kakao.com
hak_zze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Gentlemen'
pf.kakao.com
'Fash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 비즈니스 수트의 정석, 블랙 수트 (0) | 2022.08.10 |
---|---|
대한민국 양복의 역사, History of Korean Suits (0) | 2022.08.08 |
남자 여름 스타일링, 여름의 색 블루 (0) | 2022.08.06 |
셔츠의 디테일, 얼굴형에 따른 남자 셔츠 카라 종류 (0) | 2022.08.05 |
체크무늬 패턴의 종류와 모든 것, Check Pattern (0) | 2022.08.04 |
댓글